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7년 전 영끌 서울 아파트, 지금은 어떤 결과일까?

by 알뜰살뜰 절약 정보 2025. 9. 22.
반응형

‘영끌’이라는 단어가 남긴 의미

2018년 당시 서울 아파트 시장은 기록적인 열기를 보였습니다. ‘영혼까지 끌어모아 집을 산다’는 뜻의 ‘영끌’은 사회적인 유행어가 되었고, 실제로 많은 20~30대가 대출과 가족 지원을 총동원해 내 집 마련에 나섰습니다.
7년이 지난 지금, 이들의 선택은 어떤 결과를 가져왔을까요?

 

더 자세한 정보가 궁금하면 확인 해주세요.

2018년 서울 아파트 가격과 분위기

2018년 기준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약 7억 원이었습니다. 강남권은 이미 10억 원을 넘어섰고, 마용성(마포·용산·성동) 지역은 급격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었습니다. 당시 “지금 사지 않으면 평생 못 산다”는 불안심리가 강하게 작용했습니다.

2025년 현재 아파트 시세 변화

KB부동산 통계에 따르면, 2025년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약 13억 3천만 원입니다. 이는 2018년 대비 약 +90% 상승한 수치입니다. 특히 상승률 상위 5개 구는 다음과 같습니다.

  • 용산구: +95%
  • 마포구: +90%
  • 성동구: +85%
  • 동작구: +83%
  • 광진구: +82%

즉, 당시 무리해서라도 아파트를 매수한 사람들은 지금 기준으로 상당한 시세차익을 얻게 된 것입니다.

더 자세한 정보가 궁금하면 확인 해주세요.

대출 금리와 상환 부담

 

다만 모든 것이 순탄했던 것은 아닙니다. 한국은행 자료에 따르면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2018년 평균 3.3% 수준에서 2022년에는 6%를 넘어섰습니다.
예를 들어, 2018년 5억 원을 대출받았다면 초기 월 상환액은 약 200만 원 수준이었으나, 2022년에는 300만 원 이상으로 늘어났습니다. 많은 가계가 소비를 줄이고 버텨야 했던 시기였습니다.

 

더 자세한 정보가 궁금하면 확인 해주세요.

실제로 남은 금액은?

만약 2018년 7억 원에 집을 사고, 5억 원을 대출받아 7년을 버텼다면 2025년 현재 집값은 약 13억 3천만 원입니다. 단순 계산으로 시세차익은 약 6억 원. 여기에 지난 7년간의 총 이자 비용을 약 1억 8천만 원으로 추정하면, 최종적으로는 순이익 4억 원 이상을 남긴 셈입니다.

리스크 신호와 부동산 교훈

하지만 모두가 성공한 것은 아닙니다. 최근 몇 년간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이 상승했고, 경매 건수도 2023년을 기점으로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이는 대출 상환 능력이 부족했던 가계가 시장에서 탈락한 사례를 보여줍니다.

이 과정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은 두 가지입니다.

  1. 장기 보유 전략은 여전히 효과적이지만, 상환 능력이 반드시 전제되어야 한다.
  2. 무리한 대출은 단기적으로는 집을 마련할 수 있어도, 장기적으로는 리스크를 키울 수 있다.

무주택자가 배워야 할 점

2018년 영끌 세대의 경험은 단순한 성공담이 아니라, 금리와 경기 상황 속에서 어떻게 버텨야 하는지를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앞으로도 시장은 큰 변동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철저한 자산관리와 현실적인 대출 계획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반응형